커뮤니티

뇌손상 후 발생하는 망상장애의 유형과 환자 보호자의 역할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4.10.28 10:37
  • 조회수 : 101

A very simple, minimalistic comic-style illustration of an elderly East Asian patient with delusional disorder after a brain injury, wearing a hospital gown. The comic has three basic frames: in the first, the elderly patient in a light-colored hospital gown sits alone with a confused expression; in the second frame, simple shadowy or wavy lines around their head represent delusional thoughts; in the third frame, the patient appears thoughtful and slightly sad. The style is minimal, with clean lines and soft colors to convey the mood simply and effectively.


뇌경색 혹은 뇌출혈이 발생하면 수술적 약물적 치료를 통한 문제 해결에 집중하게 됩니다. 이때 환자 보호자들은 수술적 약물적 치료 이후 신체능력의 회복에 관심이 집중됩니다. 하지만 뇌손상과 관련된 망상장애에 대하여 미리 인지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신체적 능력의 회복에대한 고민도 많은 상황에서 뇌손상과 관련된 망상장애 증상을 경험한 환자 보호자들의 당혹스러움은 이루 말할 길이 없을 정도입니다. 

오늘은 뇌손상과 관련된 환자의 망상장애 유형과 이때 환자 보호자들이 어떻게 대처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이야기 하겠습니다.  


망상장애의 유형



뇌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망상장애는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망상의 내용과 주제에 따라 유형을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형은 환자의 사고방식과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뇌손상으로 발생하는 망상장애의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피해망상

 자신이 누군가에게 피해를 입고 있다고 믿는 망상입니다. 뇌손상 환자에게는 주변 사람들이 자신을 해치려 한다거나 감시하고 있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망상은 환자를 불안하게 만들고, 타인에 대한 적대감이나 불신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과대망상

환자가 자신을 지나치게 중요한 존재로 여기며,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권력이나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유형입니다. 뇌손상 환자에게는 자신이 유명한 인물이라거나 특별한 능력이 있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종종 나타납니다. 이로 인해 현실 감각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

3. 질투망상


상대방이 자신을 속이고 있거나 배신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망상입니다. 예를 들어 배우자나 가까운 사람이 자신을 배신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뇌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투망상은 종종 과거 기억의 왜곡으로 인해 더욱 심화될 수 있습니다.


4. 신체망상


자신의 신체에 이상이 있다고 확신하는 망상입니다. 예를 들어, 신체의 일부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거나, 질병이 있다고 믿습니다. 뇌손상 환자에게는 신체적 통증이나 불편감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신체망상이 더욱 강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관계망상


주변 사람들, 특히 자신과 별로 관계가 없는 사람들이 자신에게 특정한 메시지를 보내거나 자신을 겨냥하고 있다고 믿는 유형입니다. 예를 들어, 뉴스에서 나오는 이야기가 자신과 관련 있다고 믿는 등 외부 자극을 자신과 연결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6. 애정망상


자신이 특정 인물과 사랑의 관계에 있다고 확신하는 망상입니다. 이는 유명인, 의사, 또는 자신과 가까운 사람이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환자는 환상 속의 사랑을 위해 위험한 행동을 할 수도 있습니다.


7. 죄책망상


자신이 과거에 큰 잘못을 저질렀다고 믿거나 그로 인해 벌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망상입니다. 이는 죄의식이나 자책감과 관련된 망상으로, 뇌손상 후 감정 조절이 어려워진 환자에게서 자주 나타납니다.


8. 중심적 망상


환자가 주변의 모든 사건과 현상이 자신과 관련이 있다고 믿는 유형으로, 자신이 세계의 중심에 있다는 믿음을 가집니다. 이는 자기중심적인 사고를 수반하며, 주변 사건을 자신과 연결시키는 특징이 있습니다.



환자 보호자의 대처 방안 

뇌손상으로 인한 망상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에게 있어 보호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보호자는 환자의 심리적, 신체적 안정과 회복을 돕는 중심적인 존재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1. 안정적인 환경 제공


 망상장애 환자는 불안하거나 혼란스러운 환경에서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보호자는 환자에게 일관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심리적 안정을 도울 수 있습니다.


2. 적극적인 의사소통과 경청


 망상장애 환자의 경험을 부정하거나 억압하지 않고, 환자가 느끼는 불안과 두려움을 진지하게 경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환자가 신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고, 불안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의료진과의 협력


 보호자는 환자의 증상 변화나 상태를 의료진에게 정확히 전달하여, 치료 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특히 약물 부작용이나 증상의 변화 등을 관찰하여 기록하고, 필요한 경우 의료진과 상담하여 치료 방향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4. 재활 및 치료 참여 독려


환자가 신경 재활이나 심리치료 세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지원하는 역할도 중요합니다. 환자가 치료를 포기하지 않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작은 성과를 함께 기뻐하면서 자존감을 높여줄 수 있습니다.



5. 적절한 한계 설정


 망상장애 환자의 행동이 자신이나 타인에게 해를 줄 가능성이 있을 경우, 보호자는 적절한 한계를 설정해야 합니다. 이는 환자의 안전을 보호하고,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6. 자신의 정신건강 관리


 보호자의 역할은 많은 심리적, 신체적 부담을 동반하기 때문에, 스스로의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지지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가족이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자신의 정신건강을 지키는 것도 환자 지원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7. 증상에 대한 교육과 이해


망상장애의 특성과 증상에 대해 이해하고, 망상의 내용이 환자의 잘못된 생각에서 비롯된 것임을 인지하면서, 망상을 비난하거나 지나치게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증상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고, 더 나은 지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보호자가 환자의 회복 과정에서 환자의 망상증상에 대하여 당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의 회복 가능성을 미리 예단하여 치료의 방향을 미리 결정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 보호자가 중심적인 지지자로서 기능할 때, 환자는 더 긍정적인 예후를 기대할 수 있으며, 망상증상 유병기간도 짧아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Skipping ads...
Skipping ads...